Git (2)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에서 임시 변경 사항만 되돌리고 싶을 때: stash + reverse patch 활용 Git stash 임시 적용 파일 되돌리는 방법개발 도중 특정 파일들을 임시 적용했다가 다시 되돌리고 싶을 때가 있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할까?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나는 임시 적용한 파일들을 한번에 되돌리기 위해stash를 patch 파일로 저장하고, 원하는 파일들만 되돌리는 방법을 활용했다.이 글에서는 stash를 patch 파일로 저장하고 임시 적용 파일만 되돌리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한다. Tip: Window 환경에서는 Git bash로 실행하는 걸 추천함. PowerShell은 "stash@{0}" 같은 문법이 충돌할 수 있음.파일 확장자가 .patch 일 필요는 없으며, vscode나 github 등 .patch 나. diff 확장자를 가진 파일에 대해 자동으로 diff 뷰를 제공하여 사용하였.. [Git] 터미널 명령어(+옵션) 모음 git 을 사용할 때, 대부분은 소스트리나 IDE에서 지원하는 GUI 도구를 이용할 것이다. 하지만 GUI 도구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자주 쓰는 명령어(필자 주관)를 정리했다. ※ 각 명령어에 대한 설명은 기타 다른 웹사이트에 자세히 설명되어있으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tash stash 는 현재 작업 중이던 변경사항을 커밋하지 않고 저장할 수 있는 git 의 기능 git stash -m 'message' # 작업중이던 변경된 파일들 stash 영역에 저장 git stash show [stash number] # stash 영역에 저장된 파일 보기 git stash list # 생성한 stash 리스트 보기 git stash apply [stash number] # 번.. 이전 1 다음